Search

News&Notice

보도자료

중장기 석유수요 전망 <2006~2020년>
  • 작성일2005/12/31 15:47
  • 조회 3,362
ICON

[보고서]


2005년 중장기 석유수요 전망 <2006~2020년>


I. 석유수요 전망 수립배경



■ 목적



。 석유산업의 자유화에도 불구하고 산업과 국가경제에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 석유의 수급 안정을 도모하기 위함


。 현 보유중인 정제시설로 국내수요 충족 가능성을 점검하고 추가시설의 필요성 여부를 검토하여 석유의 안정적인 공급 방안을 강구하기 위함


。 유종간 수급불균형을 해소하는 등 중·장기적인 석유공급의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각종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



설립배경 및 경과


。 통상산업부의 요청으로 1995년부터 관련업계 및 기관의 전문가로 구성된 석유수요 전망위원회를 통해 그동안 6회에 걸쳐 「중장기 석유수요 전망」을 발표한 바 있음



2005년 중장기 석유수요 전망


。 금년 『중장기 석유수요 전망위원회』에서는 국내외 경제여건, 국제 에너지환경 변화, 국내 석유수요 추이, 에너지 세제개편, 경유승용차 도입을 비롯한 국내 에너지정책 등 석유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석유수급환경을 반영하여 2020년까지의 중장기 석유수요를 전망함



II. 국내외 에너지환경 동향 및 전망


1. 국제 경제동향

2005년 동향


고유가의 지속과 쓰나미 및 허리케인 피해, 엔화가치 약세, 유럽의 높은 실업률과 소비부진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제성장세, 일본의 경기회복 조짐, 중국의 높은 경제성장 지속 등에 힘입어 전체적으로는 성장세를 나타냄.


주요 기관들의 전망에 따르면 2005년 경제성장률은 미국이 3.5%, 일본이 2%내외, 유로경제는 1.2~1.3%를 보이겠으며, 특히 중국은 9.0~9.3% 로 높은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보여 세계경제 성장률은 약 4.3%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2006년 이후 전망


2006년 세계경제는 올해 수준인 4.3% 정도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성장률이 소폭 둔화될 것으로 보이며 유로경제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이후 미 경상수지 적자와 재정수지 적자의 구조적인 문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달러화의 가치는 당분간 강세를 보이겠으며, 유로지역과 일본의 경제성장률이 상향될 것으로 예상됨.



2. 국제 유가전망


2006년 전망


최근의 국제유가 급등은 잠재적인 공급 불안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세계경기 호조에 따른 수요확대에 기인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유가상승에도 불구하고 세계경제는 건실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과거에 비해 유가상승으로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줄어들고 있음.


향후 수년간 원유의 생산능력과 정제시설의 부족상황은 지속될 전망이며, 미국이나 BRICs 국가들의 왕성한 석유수요로 인해 고유가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주요기관들의 국제유가 전망>

(Dubai 기준 환산, 단위 : $/bbl)

기관

유가전망

비고

2005

2006

한국석유공사(KNOC)

세계에너지연구센터(CGES)

미에너지정보청(EIA)

캠브리지에너지소(CERA)

석유산업연구소(PIRA)

50

49.8

50.6

50.2

49.5

53

53.5

57.5

49.5

45.9

12월 전망

10월 전망(Brent환산)

10월 전망(WTI환산)

10월 전망

10월 전망

주 : Dubai기준으로 Brent는 $5, WTI는 $7을 차감 적용



2006년 이후 전망


대부분의 석유전문기관들에 의하면 국제유가는 ’05년이나 ’06년도에 피크 이루고 중기적으로 (2010년까지) 하향 안정될 것으로 전망


。 2010년 이후 유가는 수요의 지속적인 증대, 비OPEC 공급의 정체 등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OPEC의 공급비중 및 시장영향력의 증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시장수급도 더욱 타이트해 질 가능성이 높음


。 2010년 이후 유가는 실질가격 기준으로 1% 내외의 완만한 상승이 전망됨


<중장기 국제유가 전망>

(단위 : $/bbl)

기관

2005

2010

2015

2020

비고

미에너지정보청(EIA)

국제에너지기구(IEA)

PIRA 에너지

한국석유공사

49.31

45.00

56.95

50.00

36.85

40.00

50.00

45.00

43.48

45.00

62.50

53.51

51.23

50.00

87.50

65.22

미 도입 평균가

IEA 원유도입가

WTI 유가

Dubai 유가



3. 기후변화협약


국내외 현황


。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 규모가 세계 9위이고 1인당 배출 규모는 선진국과 유사한 수준으로 1인당 GDP를 감안할 경우 상당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2차 이행 기간(2013년 이후)부터 배출목표 설정 대상국이 될 가능성이 높음


석유산업의 파급 효과


。 기후변화협약에 의한 규제로 철강, 석유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에서 IT 등 에너지 저소비형 고부가가치 산업 위주로 전환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됨


。 또한 자동차 기술의 발전 및 신재생 에너지 개발의 가속화 등 석유수요 감소 또는 대체를 위한 기술 개발 노력이 이어져 휘발유 등의 수송용 연료와 B-C 등의 산업용 석유제품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III. 국내 석유시장 환경 동향 및 전망


1. 국내 경제동향


2005년 동향


고유가와 환율 절상 등의 불리한 대외여건으로 2005년 상반기에는 산업생산 증가율 및 수출증가세의 둔화로 경제성장률이 3.0% 에 불과했으나, 하반기에는 세계 경제의 상승세와 민간소비의 확대로 상승폭이 늘어나면서 연간으로는 약 3.8%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 2006년 이후 전망


。 한국은행 자료에 의하면 경제성장률은 2001-2004년 중 4.8% 정도로 추정되는 가운데 2005-2014년 중에는 정부와 민간의 대응여부에 따라 4.0-5.2% 정도의 범위 내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됨.


。 인구구조 및 투자율 변화를 반영하여 노동 및 자본스톡이 변화하고 총 요소 생산성이 최근의 추세를 이어갈 경우 2005-2014년 중 잠재성장률은 4.6%로 전망됨.


。 정부 및 민간의 적극적인 노력 강구를 상정한 낙관적인 시나리오의 경우 잠재성장률은 2005-2014년 중 5.2%까지 상승할 것으로 추정됨.


。 정부 및 민간이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기 위한 노력을 소홀히 할 경우 잠재성장률은 4% 내외까지 크게 저조할 것으로 전망함.


시나리오별 잠재성장률(2005-2014)

(연평균 %)

중립적 전망

낙관적 전망

비관적 전망

경제성장률

4.6

5.2

4.0

(노 동)

0.8

0.9

0.7

(자 본)

2.1

2.3

1.9

(생산성)

1.7

2.0

1.4


2. 에너지 세제개편


개요


2002년 9월 정부의 에너지가격 적정화 추진방안으로 수송용 석유제품의 세금이 선진국 수준으로 상향 조정되고 LPG가격도 타 유종 간 세 부담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인상이 결정됨


에너지가격 조정으로 인한 충격의 최소화 차원에서 2001년 7월부터 2006년 7월까지 6단계로 나누어 1차 에너지 세제개편을 추진하였으나, 시행 과정의 문제점 등이 노출되어 2005년 7월부터 2007년 7월까지 3 단계의 2차 에너지 세제개편을 추진하게 되었음


<2차 에너지 세제개편의 주요 내용>

구 분

휘발유

경유

수송용LPG

2005. 7

상대가격비

100

75

50

소비자가격

1,365

1,025

686

특소·교통세

630

365

210

유류세금1)

745

446

346

2006. 7

상대가격비

100

80

50

소비자가격

1,370

1,098

686

특소·교통세

630

404

210

유류세금2)

745

497

411

2007. 7

상대가격비

100

85

50

소비자가격

1,370

1,165

686

특소·교통세

630

454

210

유류세금

745

497

411

자료 : 재정경제부

주 : 1) 교통세(특소세) + 교육세 15% + 주행세 21.5% (LPG 판매부과금 23.5원/ℓ)

2) 할당관세(13%) 환원으로 인한 상승요인 5원/ℓ, 초저유황 경유 생산으로 인한 원가 인상분 15원/ℓ 반영

3. 하이브리드 자동차


`환경친화적 자동차 개발 및 보급 촉진을 위한 5개년(2006년~2010년) 기본 계획`에서 2004년 50대를 시범 운행한데 이어 2006년까지 총 780대, 2008년까지 4,200여대를 보급하고 구매자에게 세제혜택 등의 우대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며 2010년까지 모터, 변속기 등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의 독자 기술 확보를 목표로 설계에서 양산까지 일괄적으로 기술개발을 실시할 계획임


국내 업체가 경쟁력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2008년부터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국내 보급이 본격화되고 2020년까지 약 40만대 정도 보급될 전망임



4. 경유승용차


현재는 유로3와 유로4 기준이 모두 허용되고 있으나 `06년부터 환경부의 배출가스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경유승용차의 값이 더욱 오를 것으로 전망됨


`06년부터는 유로3보다 배출가스를 50% 가량 더 줄여야 하는 유로4만 적용됨에 따라 올해 판매된 아반테XD, 뉴스포티지 등도 배출 가스 기준 충족을 위해 배출가스 후속처리장치(DPF)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원가 인상요인이 대당 약 170만원 발생할 것임


특소세 50% 감면혜택이 없어지면 유로4 기준의 경유승용차는 특소세 인상폭이 더 커져 결과적으로 판매가격이 오르게 됨에 따라서 `06년도 디젤 승용차의 판매 전망은 그리 밝지 않을 전망임

경유승용차 도입전망이 그리 밝지는 않지만 연료효율을 고려하면 경제성에서 여전히 유리하기 때문에 에너지세제개편에 따른 상대가격 (100:85:50)을 감안하면 경유수요는 2009년까지 연평균 약 1,000 B/D 수준의 증가 효과가 예상됨


5. 대체연료 현황 및 전망


바이오디젤


신재생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디젤은 기후변화협약 등과 맞물려 정부의 정책적인 보급이 추진될 것이므로 향후 경유대체용 연료로써 2010년까지 정유사의 경유 수요에 연간 약 970 B/D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CNG버스


환경부의 대기환경 개선정책 일환으로 경유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전환하도록 유도함


대기환경보전법 개정(’99. 4. 15), 도시계획법 시행규칙(’99. 6. 24) 등 관련 법률 개정을 통해 천연가스버스 도입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


환경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도입 확대 방침에 따라 CNG버스의 보급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2010년까지 연간 약 2,200 B/D의 경유 수요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6. 유사석유 제품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유사석유제품의 유통이 증가하였으나, 2006년 "석유및석유대체연료사업법" 개정으로 그 수요는 감소될 것으로 추정됨


유사석유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용제 수요는 감소하고 휘발유 수요는 증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됨




IV. 국내 석유수요 추이



국내 석유수요는 ’70년대 연평균 10%대의 고성장 추세와 ’80년대 편의성 에너지 선호추세에 따른 연평균 5%대로 성장하고 , ’90년대 상반기에는 자가용 승용차 증가와 석유화학산업 확충 등으로 연평균 13.7%의 증가세를 나타냈음


’98년 외환위기 이후 석유수요는 국내 총에너지 증가율에 훨씬 못 미치는 연평균 0.9%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 ’98년 외환위기 이후 소비심리 위축, 석유류 관련 세금의 지속적 인상, IT 및 서비스 산업 등 에너지 저소비 산업구조로의 전환, 연료 대체 지속 등으로 ’99년 이후 거의 정체 수준에 머물러 있음


<에너지 수요 증가율 추이>

(단위 : %)

’70~’79년

’80~’89년

’90~’97년

’99~’04년

석 유

12.7

5.2

12.1

0.9

총에너지

9.1

7.1

9.9

4.0



제품별 동향


’99년 이후 모든 유종의 수요 증가율이 크게 감소한 가운데, 특히 나프타 및 등유의 감소폭이 크고 휘발유, LPG, B-C도 크게 감소하였음


경유, 나프타, LPG, 제트유 등은 ’99년 이후로 연평균 2% 대의 안정적인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으나, 휘발유, 등유, B-C는 마이너스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음



<제품별 수요 증가율 추이>

(단위 : %)

휘발유

등유

경유

나프타

B-C

LPG

제트유

기 타

’85~’89년

27.5

16.0

12.6

6.9

6.0

20.8

13.9

5.9

’90~’97년

17.1

19.1

8.0

22.3

6.3

10.5

6.1

14.2

’99~’04년

△1.9

△10.9

2.7

2.7

△2.8

2.8

2.9

8.7



V. 예측방법


용도에 따라 산업, 수송, 가정상업, 발전, 도시가스, 공공기타로 구분


산업부문은 전기/전자/금융을 제외한 GDP를 변수로 하여 산업부문의 총 에너지수요를 도출한 후 에너지원간 수요를 전망함.


가정상업부문은 GDP, 난방도일을 감안하여 가정상업부문의 총 에너지수요를 전망하고 에너지원별 수요를 전망함.


수송부문은 수송수단별 사용연료를 구분하여 예측


발전부문은 전력거래소의 중장기연료소비계획(제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반영


도시가스부문은 가스공사 및 도시가스회사의 수급계획을 반영하고 공공기타는 Trend분석으로 전망함.



VI. 수요 전망


1. 총괄


2006년 국내 석유제품 수요는 0.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후 2020년까지는 연평균 0.6% 증가한 8억 3천만bbl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기간별로는 2005~2010년 동안 연평균 0.4%, 2010~2015년 동안은 0.6%, 2015~2020년 동안은 0.8%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부문별 수요는 기간에 따라 부문간 증가율에 다소 차이가 발생함


-2005~2010년: 산업 및 수송부문의 안정적인 증가, 가정상업부문의 감소

-2010~2015년: 가정상업부문의 감소세 둔화

-2015~2020년: 산업부문의 증가세 둔화 및 가정상업부문의 감소세 둔화


<부문별 석유수요전망>

(단위 : 천bbl, %)

구 분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감률

05~10

10~15

15~20

05~20


(구성비)

762,130
(100.0)

777,199
(100.0)

800,166
(100.0)

833,966
(100.0)

0.4

0.6

0.8

0.6

산 업

386,547
(50.7)

406,740
(52.3)

427,587
(53.4)

439,693
(52.7)

1.0

1.0

0.6

0.9

수 송

259,199
(34.0)

276,738
(35.6)

291,187
(36.4)

309,980
(37.2)

1.3

1.0

1.3

1.2

가정상업

78,053
(10.2)

56,285

(7.3)

49,216
(6.2)

47,530
(5.7)

△6.3

△2.6

△0.7

△3.3

발 전

27,400
(3.6)

25,943
(3.4)

20,144
(2.5)

24,282
(2.9)

△1.1

△4.9

3.8

△0.8

공공기타

9,733
(1.3)

10,424
(1.3)

11,006
(1.4)

11,483
(1.4)

1.4

1.1

0.9

1.1

도시가스

1,197
(0.2)

1,069
(0.1)

1,026
(0.1)

999
(0.1)

△2.2

△0.8

△0.5

△1.2



2. 부문별 석유수요


(1) 산업부문


。 2020년까지 연평균 3.5% 정도의 산업성장률이 예상되고, 특히 석유화학 관련 산업은 향후 5년간 견조한 성장이 전망되기 때문에 산업부문의 석유수요는 평균 약 0.9%의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됨


。 2020년까지는 연평균 0.9%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보여 2020년 석유 제품 수요는 439.7 백만bbl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기간별로는 2005~2010년과 2010~2015년의 각 5년간은 연평균 1.0%, 2015~2020년의 5년간은 0.6%의 증가를 보여 증가세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됨


。 유종별 증감 원인을 보면, 산업부문에서 비중이 큰 나프타가 연평균 2.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경유, B-C, 프로판 등은 지속적으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나프타는 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석유화학 제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국내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B-C는 2002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 설치가 실행되고 있는 TMS 등 환경 규제 강화, 유가 상승, LNG의 안정적 공급에 따른 대체 지속, 공장의 해외 이전 지속으로 10%안팎의 감소세 지속 전망

- 프로판은 석유화학부문에서 원료용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산업부문의 연료로는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보여 전체적으로 소폭 감소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산업부문 석유수요 전망>

(단위 : 천bbl, %)

구 분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감률

05~10

10~15

15~20

05~20

386,547

406,740

427,587

439,693

1.0

1.0

0.6

0.9

경 유

19,010

16,183

14,151

12,760

△3.2

△2.6

△2.0

△2.6

B - C

38,344

21,552

12,639

7,969

△10.9

△10.1

△8.8

△9.9

나 프 타

273,386

318,465

353,331

373,189

3.1

2.1

1.1

2.1

프 로 판

12,275

11,857

11,681

11,507

△0.7

△0.3

△0.3

△0.4

기 타

43,532

38,682

35,785

34,268

△2.3

△1.5

△0.9

△1.6



(2) 수송부문


。 수송부문의 석유수요는 2020년까지 연평균 1.2% 증가한 310.0 백만 bbl 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기간별로는 2005~2010년 동안 연평균 1.3%, 2010~2015년에는 1.0%, 2015~2020년에는 1.3%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휘발유, 경유, 부탄 등 육상 수송용 제품은 에너지 세제개편, 경유 승용차 출시, 하이브리드 자동차 보급 확대 및 기후변화협약 등의 영향으로 제품 수요간 대체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 휘발유는 2010년까지 소폭의 증가세를 보이겠으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경유승용차 등의 영향으로 2010년 이후로는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경유는 경유승용차 보급 확대와 화물 및 여객 수송 수요의 꾸준한 증가에 힘입어 2020년까지 연평균 1.7%의 증가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부탄은 에너지 세제개편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수요가 증가하겠으나 폐차시기 도래 및 신차 출시 부진 등의 영향으로 2020까지 연평균 0.4%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제트유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따라 수출입 및 해외여행 수요의 증가에 힘입어 연평균 4.2%의 높은 증가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 B-C는 국제교역 활성화에 따라 연평균 1.3%의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수송부문 석유수요>

(단위 : 천bbl, %)

구 분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감률

05~10

10~15

15~20

05~20

259,199

276,738

291,187

309,980

1.3

1.0

1.3

1.2

휘 발 유

57,089

58,058

54,534

52,154

0.3

△1.2

△0.9

△0.6

경 유

110,703

118,834

129,142

142,266

1.4

1.7

2.0

1.7

B - C

21,911

23,411

24,911

26,411

1.3

1.2

1.2

1.3

제 트 유

25,390

31,369

38,756

47,334

4.3

4.3

4.1

4.2

부 탄

42,864

43,754

42,479

40,401

0.4

△0.6

△1.0

△0.4

기 타

1,241

1,311

1,366

1,413

1.1

0.8

0.7

0.9



(3) 가정상업부문


。 가정상업부문의 석유수요는 청정연료인 LNG 등의 수요 증대로 2020까지 연평균 3.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등유수요는 도시가스, 전력, 석탄 등 대체에너지로의 대체 현상이 지속되어 왔으며 고유가로 인해 향후 3~4년간은 감소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나 그 이후 감소폭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됨


- B-C는 환경 정책과 고유가의 지속에 따른 타 에너지로의 대체로 2020년까지 연평균 2.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 프로판은 LNG의 수요 증가로 상업용 및 가정용 모두 지속적으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보여 2020까지는 연평균 2.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가정상업부문 석유수요>

(단위 : 천bbl, %)

구 분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감률

05~10

10~15

15~20

05~20

78,053

56,285

49,216

47,530

△6.3

△2.6

△0.7

△3.3

등 유

33,491

17,689

13,242

11,774

△12.0

△5.6

△2.3

△6.7

경 유

8,614

8,973

9,255

9,526

0.8

0.6

0.6

0.7

B - C

7,027

5,744

5,136

4,952

△4.0

△2.2

△0.7

△2.3

프 로 판

25,419

20,079

17,739

17,393

△4.6

△2.4

△0.4

△2.5

기 타

3,502

3,801

3,844

3,885

1.7

0.2

0.2

0.7



(4) 발전부문


。 발전부문의 석유수요는 최근 석탄 및 원자력 등의 기저 발전원이 증가함에 따라 석유발전원의 가동률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2020년까지 연평균 0.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제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중유 및 경유설비의 경우 2007년까지 소폭 증가한 후 2010년 이후로는 노후설비의 폐지로 전체설비 용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중장기 에너지원별 전원구성 전망>

구 분

B-C
(천 Bbl)

경유
(천 Bbl)

석유계

(천 Bbl)

석탄
(천 Ton)

LNG

(천 Ton)

2005

3,182

226

3,408

50,622

6,990

2010

2,730

282

3,012

68,195

6,118

2015

1,894

264

2,158

61,136

5,172

2017

2,168

265

2,433

61,315

5,380

연평균 증가율

05~10

△3.0

4.5

△2.4

6.1

△2.6

10~15

△7.1

△1.3

△6.5

△2.2

△3.3

15~17

7.0

0.2

6.2

0.1

2.0

자료 : 산업자원부, 2002년 전력분야 통계 “제2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발전부문 석유수요>

(단위 : 천bbl, %)

구 분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감률

05~10

10~15

15~20

05~20

27,400

25,943

20,144

24,282

△1.1

△4.9

3.8

△0.8

등 유

675

680

685

690

0.2

0.1

0.1

0.1

경 유

157

1,774

1,661

1,622

62.4

△1.3

△0.5

16.8

B - C

26,565

23,489

17,798

21,970

△2.4

△5.4

4.3

△1.3

기 타

3

-

-

-

-

-

-

-



(5) 도시가스부문



。 도시가스회사의 원료전환으로 LPG가 LNG로 대체 사용됨으로써 도시가스용 프로판이 연평균 1.2% 감소한 1백만 bbl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도시가스부문 석유수요>

(단위 : 천bbl, %)

구 분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감률

05~10

10~15

15~20

05~20

1,197

1,069

1,026

999

△2.2

△0.8

△0.5

△1.2

프 로 판

1,197

1,069

1,026

999

△2.2

△0.8

△0.5

△1.2



(6) 공공기타부문


。 공공기타부문의 석유수요는 2020년까지 연평균 1.1%의 증가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군용 석유제품은 세계 및 한반도 정세변화와 군 현대화 정책 등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변동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됨

<공공기타부문 석유수요>

(단위 : 천bbl, %)

구 분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감률

05~10

10~15

15~20

05~20

9,733

10,424

11,006

11,483

1.4

1.1

0.9

1.1

경 유

3,541

3,932

4,209

4,399

2.1

1.4

0.9

1.5

제 트 유

4,831

5,179

5,499

5,779

1.4

1.2

1.0

1.2

기 타

1,362

1,312

1,298

1,305

△0.7

△0.2

0.1

△0.3



3. 유종별 석유수요


<유종별 수요전망>

(단위 : 천bbl, %)

유 종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가율

05~10

10~15

15~20

05~20

합 계

762,130

777,199

800,166

833,966

0.4

0.6

0.8

0.6

휘발유

59,635

60,580

56,994

54,551

0.3

△1.2

△0.9

△0.6

등 유

39,636

21,936

16,572

14,667

△11.2

△5.5

△2.4

△6.4

경 유

142,026

149,697

158,417

170,573

1.1

1.1

1.5

1.2

B-A

2,195

1,775

1,540

1,424

△4.2

△2.8

△1.6

△2.8

LRFO

1,674

1,552

1,505

1,499

△1.5

△0.6

△0.1

△0.7

B-C

94,034

74,382

60,671

61,488

△4.6

△4.0

0.3

△2.8

제트유

30,246

36,582

44,295

53,160

3.9

3.9

3.7

3.8

나프타

273,386

318,465

353,331

373,189

3.1

2.1

1.1

2.1

용 제

4,246

2,933

2,260

1,933

△7.1

△5.1

△3.1

△5.1

프로판

39,129

33,237

30,676

30,128

△3.2

△1.6

△0.4

△1.7

부 탄

51,144

53,083

52,488

51,056

0.7

△0.2

△0.6

-

아스팔트

11,140

11,870

12,287

12,684

1.3

0.7

0.6

0.9

기 타

13,639

11,107

9,129

7,614

△4.0

△3.8

△3.6

△3.8



(1) 휘발유


。 2006년도는 민간소비 회복세와 신차출시 예정 등으로 승용차 판매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경유승용차 출시가 이어지고 2008년 이후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보급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2008년 이후로는 휘발유 수요가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됨



。 2020년까지는 기후변화협약과 배출가스규제 등으로 휘발유 수요는 연평균 0.6%의 감소를 보일 것으로 전망


(2) 등유


。 2005년 12월 이상한파로 인해 수요 감소폭이 둔화되어 7.1%의 감소율을 보이겠으나, 평년의 기온을 가정할 때 LNG 등의 대체연료로의 전환이 급속하게 이루어져 2010년까지는 연평균 11.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그 이후로는 전환률이 둔화되어 4~6% 정도씩 감소하다가 2020년에는 1.5% 수준의 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3) 경유


。 2005년은 SUV, CDV 차량의 보유세 부담증가, 세제개편의 영향 및 경유승용차 판매부진 등으로 일시적인 수요 감소가 예상되나, 2006년부터 인기 차종을 중심으로 한 경유승용차 출시가 확산되면서 보급률을 높여갈 것으로 전망됨


。 산업부문의 수요 감소 예상에도 불구하고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체적으로는 연평균 1.2%의 안정적인 수요 증가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됨


。 한편 유로4 적용에 따른 추가부담 및 2차 세제개편 등의 영향으로 그 보급률은 기존의 예상보다는 낮아질 가능성도 있음



(4) B-C


。 B-C는 수송부문을 제외한 전 부문의 수요 감소가 지속되어 전체적으로는 연평균 2.8%의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산업 및 가정상업부문은 LNG로의 대체 가속화, 고유가 지속 및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전망기간 동안 각각 연평균 9.9%, 2.3%의 감소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발전부문에서는 발전설비 폐지 계획에 따라 연평균 1.3%의 감소가 예상 됨


。 수송부문에서는 선박 벙커링 수요 증가에 힘입어 0.9%의 수요 증가가 예상됨


(5) 제트유


。 제트유는 경제회복과 함께 해외여행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수출입 물량이 증가하여 2020년까지 연평균 3.8%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6) 나프타


。 나프타는 중국이 연간 10% 전후의 경제성장을 지속적으로 이룩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석유화학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그 증가율은 점차적으로 둔화되겠으나 2020까지 연평균 2.1%의 증가율 을 보일 것으로 전망


(7) 프로판


。 도시가스 보급 확대에 따른 난방 및 취사용 수요의 감소가 지속되어 산업용 원료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연평균 1.7%의 감소


(8) 부탄


。 2차 에너지 세제개편에 따라 당분간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여 수요가 증가하겠으나, 장기적으로는 경유승용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보급 확대 등에 따라 수요가 정체 또는 소폭의 감소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첨부파일 목록>

- 05년_석유수요전망위원회_최종보고파워.ppt

- 인쇄용 최종부(확정)12.29.xls

- 중장기수요예측_2005년_ver3.hwp

태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뉴스레터 구독을 통해 더욱 다양한 정보를 보다 빠르게 만나보세요.